주식투자 초보 가이드: 분할매매 기법
주식은 왜 꼭 내가 사면 떨어지고, 내가 팔고 나면 올라가냐고?!
대한민국은 요즘, 갈 곳을 잃은 수만은 유동성 자금이 죄다 주식시장으로 몰려들어, 우한 폐렴(중국 우한에서 박쥐 따위 쯥쯥 대다가 생겨난 병으로 중국이 자신들 잘못이 아니라고 하지만 1,000% 중국 잘못이기 때문에 난 죽어도 COVID-19가 아닌 "우한 폐렴"으로 부르겠다.)의 유행에 따른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한국이나 미국 주식시장은 오히려 그 이전에 어느 때 보다도 훨씬 활성화된 상태다.
그래서 요즘 더더욱 어딜 가나 주식 이야기뿐인데... 주식 아무렇게나 원칙 없이 달려들면 100% 쪽박 차는 것은 주식투자를 모르는 사람들도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은행 실질 이자가 0%인 지금, 돈의 가치는 계속 되는 양적완화로 인해 계속 내려가고 있고, 돈의 가치가 내려가 상대적으로 물가는 오르고 있지만 그렇다고 급여도 같이 올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지금은 은행에 돈을 입금해도 돈의 가치가 내려가고 있어서 이게 현상유지조차도 되지 않는 상황이 되고 있다. 그래서 요즘 부쩍 주식 투자를 하려는 사람이 늘어났다.
돈은 있는데 ... 주식 투자 시작하고 싶은데... 근데 머라 머라 말들은 더럽게 만고.... 등등
막상 하려고 하면 이것저것 걸리는 것도 많고 알아야 할 지식도 필요하다.
특히 성공적인 주식투자를 위해선 기본적 경제, 금융 지식과 관련 공부는 필수고, 만이 분석하고 보면서 천천히 시작해야만 한다.
그냥 덥석 "카더라~" 하고 옛날 묻지 마 식 투자를 하면 주식은 무조건 원금 날리고 쪽박 찰 수밖에 없다.
그래서 주식투자를 안정적으로 그리고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선 알아야 만 하는 지식뿐만 아니라 반드시 지켜야 하는 룰 같은 것도 존재하는데 흔히 주식 투자 원칙이라고 만이 언급되는 것들이다.
그리고 이중에서도 특히 주식 투자를 할때, 원금을 잃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익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지켜야 하는 "분할 매매" 방식에 대해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사람의 삶에도 언제나 위험이 존재하는 불확실성이 존재하듯
주식투자도 반드시 발생하는 위험이 항상 존재한다.
성공적 주식투자를 위해선 이런 위험속에도 지속적으로 투자를 진행할 수 있는 힘이 필요하다.
주식투자의 불확실성, 임의성에 의해 발생하는 위험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고 이런 위험에 꾸준히 대응하면서 지속적인 주식투자 수익을 얻기 위해 서는 알아두어야 할 원칙 중 하나가 바로 벤저민 그레이엄의 "안전마진"을 이해해야 한다.
그의 대표적 저서인 "투자의 심리학"에서 이렇게 이야기 하고 있다.
"안전마진의 목적은 예측을 불필요하게 하기 위해서 이다."
요근래 주식투자에서 가장 많이 그리고 자주 일어나는 오류(또는 착오?)중 대표적인 것중 하나가 한두번의 투자결과가 좋다고 해서 정말 자신이 주식투자를 잘 하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는 것이다.
주식은 아무리 신급 수준의 능력이 있다고 해도 예측할 수 없다. 그리고 주식 투자에서 악재, 즉 리스크는 반드시 일어난다.
이렇기 때문에 주식을 정말 정확한 타이밍에 매수해서 필요한 시점에 매도한다는 것은 신도 할 수 없는 짓이다. 그래서 주식투자 전문가들에게 내가 갖고 있는 주식을 언제 팔아야 하는지, 또는 사고 싶은 종목을 언제 사야 하는지 물어보는 것만큼 우문우답이 없다.
그걸 대답하고 있는 주식 투자 전문가라고 자징하는 인간들도 문제지만 그걸 물어보는 것이 얼마나 멍청한 짓인지는 본인의 수익률을 보면 더 잘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따라서 주식 투자는 항상 리스크에 노출 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맞다. 쉽게 이야기하면, 내가 사면 주식은 내려가고 내가 팔면 주식은 올라간다라고 생각하는 게 더 속편 하다.
문제는 이런 상황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주식 투자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 즉 꾸준한 자본력을 확보하는것이 무엇보다 우선된다.
그래서 주식 투자는 내돈으로만 해야 하고, 꾸준히 하기 위해서 소액이더라도 내가 버는 수입에서 일정 금액을 매달 정기적으로 투자하는 투자자가 6년~7년 이상 시간이 지나 계좌 수익률을 보면 한 번에 몰빵하고 그냥 덮어놨던 투자자의 수익류보다 훨씬 높은 수익률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주식투자에서 정확한 예측은 아무도 할 수 없다. 따라서 리스크를 예상하고 이를 대응하면서 리스크의 영향도를 최소화 해야 하는데 이걸 가능하게 하는 주식 매매 방법이 바로 "분할 매매"다.
"분할 매매" 란 말 그대로 "나누어서 매매" 한다는 뜻이다. 주식 투자에서 매수 할 때, 갖고 있는 돈을 한 번에 다 매수에 사용하지 않고, 나눠서 주식을 매수하는 것을 말하는 것을 분할 매매라고 이해하면 된다.
주식은 내가 매수했거나 또는 매수하려는 종목이 가격이 내가 매수한 뒤에 얼마나 더 내려갈지 모르는 상태에서 매수하는 것을 기본으로 깔고 매수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식 투자자라면 누구나 다 주식을 매수할 때 불안감을 갖고 매수하게 된다.
그래서 주식을 매수 하고 난 뒤 가격 하락이 일어날 때 효과적으로 대응해서 투자 심리를 안정시키고, 단계적 대응으로 결과적으로 해당 종목의 수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갖고 있는 현금을 한 번에 다 사용해서 그 종목을 매수하는 것이 아니라 매수 시점을 분할해서 정기적으로 매수하는 방법이다.
분할매수를 효과적으로 진행하면 매수 뒤 해당 종목 가격이 떨어지더라도 특정 가격 수준에서 "평잔(해당 주식 종목을 매수했을 때 보유한 종목 전체 수량을 매수 시점에 가격으로 나눈 가격을 "평균잔고" 줄여서 "평잔"이라고 한다.)"을 더 낮출 수 있게되고, "평잔"이 내려가면서 반대로 매집 한 종목의 보유수량은 늘어나게 되어있다.
즉 처음 10주 샀을 때 매수 평잔이 10만 원이었는데 15% 내려간 상태에서 5주를 추매 하면 매수 평잔이 9만 5천 원 정도로 내려가고 보유수량은 10주에서 15주로 늘어나게 된다.
주식투자는 결국 가격이 쌀 때 사서 보유하고 이후 가격이 상승하면 팔아서 그 차액을 수익으로 얻는 투자방법이기 때문에 1원이라도 싸게 매수해서 1주라도 더 많이 보유하는 한 것이 결국 수익률이 극대화하기 때문이다.
분할 매매의 법칙
분할매수는 앞에서 언급한 대로 주식을 매수하는 시점(또는 시기)을 분할하여 나누고 그 분할된 시점에서 내가 투자할 수 있는 투자원금을 나누어 그 종목을 매수하는 과정이라고 했다.
그럼 "분할 매수하는 시점을 많이 나누어 놓고 매수할 때 쓰는 현금도 잘게 최대한 쪼개서 계속 추매(추가 매수) 하면 되겠네?"라고 생각할 수 있을 텐데 실제로는 반드시 꼭 그렇게 되지 않는다.
분할매수 간격이 너무 짧거나, 또는 분할매수 시 투자원금의 분할을 잘못하면, 그 종목의 보유수량(비중)은 크게 늘어나지만, 보유평잔은 처음 생각만큼 내려가지 않는 상태가 될 수 도 있고, 하필 매수 시점에서 그 종목에 추가적 악재가 발생해 조정기간 (주식은 급등할 때, 그동안 기다려왔던 투자자들이 일제히 매도를 하면 일정 수준까지 금액이 하락하고 그 뒤에 다시 다른 호재가 나타나거나 또는 거래량이 조절될 때까지 일정 구간에서 가격이 크게 오르지도 내려가지도 않는 현상이 일정기간 동안 벌어지게 되는데 이걸 흔히 조정기간이라고 한다.) 뒤에도 더 하락하거나 거기서 꼼짝도 않는 상태가 오래가게 되어 팔지도 못하게 돼서 투자 자금만 묶이는 상태가 될 수 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주식 분할 매수는 아래와 같이 분할 매수 규칙을 따라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가. 분할 매수 시점은 아무리 만아도 4회를 넘지 않도록 매수 구간을 정해놓는다.
분할 매수 구간을 설정할 때는 각 구간별 격차가 최소한 10% 이상 나는 것이 가장 좋다.
예를 들면, 내가 매수한 시점에 종목 단가가 100원일 때, 90원 이상 가격이 떨어졌을 때 1번, 다시 또 내려가서 12% 이상 벌어졌을 때 또 한 번, 최종적으로 거기서 또 13% 이상 떨어졌을 때 한번 이런 방식으로 추매 시점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시 말해서 최초 매수 시점에서 하락 간극이 크면 클수록 추매 효과는 명확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내가 삼성전자를 6만 원일때 10주를 매수 했었는데 가격이 하락해서 주당 20%가 내려간 4만8천원일때 5주를 추가로 매수하면 보유 총 주식 수량은 15주가 되지만 평잔은 5만6천원이 된다. 보유 수량은 늘었는데 오히려 종목당 객 단가는 삼성전자를 최초로 샀을때 보다 4천원이 더 싸지는 셈이다.
하지만 만약 6만원일 때 산 주식을 10% 하락했을 때 5주를 추매 하면, 주식 보유 총량은 15주가 되지만 실제 보유평잔은 5만 8천 원 꼴이 되기 때문에 그렇게 큰 평잔 조절효과를 볼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매수 후에 최대 4번 정도의 추매를 한다고 생각하고 최초 평잔 조절 시점은 20% 이상 빠진 시점에서 추매를 시작하고 20% 이상 떨어지지 않는다면 추매를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1번 정도만 하는 것을 생각하고 최대로 내려가는 시점을 예측하여 준비하는 것이 좋다.
나. 분할 매수 시 각 추매 시점에서 추매 총량의 비중은 1:1:2:4 정도 비율로 추매 한다.
모든 주식투자가 그렇지만 내가 모든 100만 원을 쓸 수 있다면 항상 최후의 20%는 현금을 남겨놓는 것이 좋다. 분할 매수 시에도 이 원칙은 그대로 적용되며, 최대 4회의 추매를 하더라도 최후에 최후를 위해 최종적으로 15~20%의 현금은 남겨놔야 한다.
따라서 결국 추매도 내가 갖고 있는 현금의 양과, 추매 하고자 하는 종목의 객단가를 잘 나누어서 계산하고 진입하여야 하며 추매과정에서 보유한 현금을 모두 사용하면 최악의 경우 다른 종목을 매수하여 그 종목이 상승하여 상승분 수익 매도를 통해 수익분만큼 보유비중이 큰 종목을 덜어내기 위한 리스크 헷지 방법을 사용할 수 없게 됩니다. 결국 그냥 무조건 오를 때까지 기다리거나 아니면 "손절"이라는 방법으로 손해를 감수하고 팔아야 하는 상황이 올 수 도 있다.
주식에서 절대로 하면 안 되는 주식 관리방법 중 대표적인 방법이 바로 "손절"이다.
간혹..(실제론 꽤 자주.. 아주 흔하게..) 주식 리딩하는 업체나 전문가들 중에 "손절도 방법이야~~"라고 하면서 손절을 마구마구 권유하는 전문가의 탈을 쓴 사기꾼들이 있다.
아주 명확하고 확실하게 강조한다. 손절은 정상적인 주식투자 관점에서 볼 때, 정상적인 리스크 했지 방법이 아니다. "물렸으니 빼야지 어떻게~"라고 말하신다면 애초에 안 물릴 종목을 선택해야 하며, 애초에 안 물리는 종목은 가치투자를 기반으로 하는 장기 투자방식으로... 선택하는 기준이 있습니다. 그 기준에 따라 선택하면 주식은 하다못해 물가가 오른 만큼이라도 반영돼서 올라가게 되어 있다. 추매 할 자금도 없고 지금 때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참고 기다려라.
손절이 습관이 되면, 이 정도쯤이야.... 가 모여서 내가 이제 까지 고생 고생해서 만든 수익을 전부 손절로 까먹거나 그것도 모자라 원금까지 날려 먹는 상황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분할매매"는 주식투자 종목 매수 시 가장 원칙이며 기본이지만, 만약 매달 또는 매주 또는 매일 1회 정기적으로 주가가 오르던 내리던 꾸준히 투자하는 주식 투자자는 이 분할 매매 방법을 굳이 지킬 필요가 없다.
왜냐면 정기 매매 자체가 분할 매매 효과를 갖고 있고, 한 번에 종목을 사서 오래 묻어두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이라도 꾸준히 해당 종목을 모으는 정기적인 주식 투자가 결과적으로는 가장 큰 수익률을 갖고 오기 때문이다.
다. 분할 매수 시 하나의 계좌에서 분할 매수를 하는 것보다 서로 다른 주식계좌 4개 정도를 이용해서 분할 매수를 하는 것이 훨씬 효과가 크다.
흔히 분할 매수를 해야 한다고 하면 거의 모든 투자자들은 보유하고 있는 하나의 주식 계좌에서 같은 종목에 대해 나누어서 매수하는 것을 생각한다. 하지만 분할매매의 진정한 의미는 한 종목을 나눠서 사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투자 시점의 분산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7만 원일 때 보유 자본의 30% 만큼 샀고, 다사 5~6개월이 지나 20% 정도 하락했을 때, 또 보유한 자산의 30% 정도로 추가 매수를 하고, 그리고 또 1년이 지나 다시 15% 정도 떨어졌을 때, 남은 현금으로 추가로 삼성전자를 추가 매수 했다고 할 때, 이걸 일반적으로 분할 매수로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틀린 말은 아니다. 이렇게 매수를 하면 삼성전자 주식은 추매를 할 때마다, 보유하고 있는 수량은 추매를 한만큼 늘어나면서 추매 한 만큼의 금액이 이전에 보유하고 있던 보유 평잔을 깎아내리기 때문에 전체 평잔이 내려가면서 보유수량은 늘어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렇게 하면 그냥 매수하고 덮어놓고 있던 거보다 나중에 삼성전자가 반등을 하면, 보유평잔이 초기 매수했을 때보다 내려와 있는 상태에서 보유수량은 늘어나 있기 때문에 반등할 때, 훨씬 큰 수익을 기록하면서 빠른 지점에서 반등 효과를 수익으로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방법은 추매 시점이나 수량을 잘못 계산하면 한 종목의 비중이 너무 커져 나중에 관리하기 부담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런 점을 없애기 위해 주식계좌에 보유한 종목은 꾸준하게 정해진 금액으로만 오르던 내리던 적금처럼 매수 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다. 이렇게 하면 분할매수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보유 주식의 고저를 관계하지 않고 매수하기 때문에 저점에서도 공포를 이기고 기계적인 매수가 일어나서 평잔을 극단적으로 낮추면서 반등 시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보다 더 효과가 큰 방법은 계좌 4~5개 정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이 운영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를 7만 원에 처음 매수 한다고 할 때, 처음 매수하는 분량을 1번째 계좌에서 매수 하고, 2번째 추매 할때 분량을 2번째 계좌에서 매수하고, 3번째 추매 할 때는 3번째 계좌에서 매수, 4번째 추매는 4번째 계좌에서 매수를 해서 매수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가장 마지막에 매수한 수량이 가장 낮은 가격에서 보유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반등하기 시작할 때, 가장 늦게 매수해서 보관한 계좌부터 반등해서 수익권에 들어갔을 때, 수익을 굳힐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수익을 굳히고 또 거기서 더 올라서 3번째 통장에 매수했던 평잔보다 오르면 3번째 통장에서 또 수익을 낼 수 있게 된다. 이런 식으로 운영하게 되면 1개의 종목이지만 물려있다는 심리적 불안을 없앨 수 있고, 해당 주식이 반등할 때 계속 수익을 확보하면서 남아있는 수량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밑에서부터 수익을 확보하였기 때문에 2번째나 1번째 통장에 평잔 수준까지 만약 해당 주식이 오르지 못하고 중지되거나 답보하게 되더라도 이미 나머지 통장에서 수익을 확보하였기 때문에 그 수익만큼 1번째 계좌에서 수익을 확보한 만큼 분량을 덜어내서 다른 종목으로 투자종목을 갈아 태울 수 도 있다.
즉, 이 방법은 적금처럼 꾸준히 해당종목을 보유하기 어렵거나, 적금처럼 매달 꾸준히 투자금을 추가할 수 없고, 처음 확보했던 자금 만으로 투자를 하여 주식투자 자본과 수익을 키워야 하는 투자자에게 심리적인 안정성과, 한 번에 몰아서 매수하지 않아서 한두 종목에 자본이 물리는 위험을 피하면서 빠르게 수익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분할 매수는 투자 시점을 분산해서 위험을 상쇄시키는 투자 방법이다. 그리고 이 방법이 궁극적으로는 수익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매달 적금처럼 꾸준히 매수 하서 관리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이 불가능한 정해진 자본만으로 주식을 투자해서 수익을 내야 하는 투자자는 두 번째의 방법으로 수익관리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 주기 바란다.
모두의 성공 투자를 기원합니다.
※ 주의사항
1. 내용상 특정 회사 주식에 대해 개인적으로 분석한 외, 내향적 내용이 들어 있으나 이건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판단과 분석이며, 투자에 대한 판단과 그 책임은 어디까지나 본인에게 있으니 위의 내용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2. 본 아티클은 제작자의 창작물이며, 지적재산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저작자의 허락 없이 다른 저작물에 도용하거나, 저작자 허락없이 상업적인 목적에 이용하거나 유출하는 경우, 민형사상의 불이익과 처벌을 받게 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주식 (Stock) > 기초 주식투자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株式投資初心者ガイド| 分割で買い、分割で売る(分割売買) (1) | 2023.12.05 |
---|---|
株式投資初心者ガイド | 株式投資はどうやって始めるべきか? (0) | 2023.11.27 |
株式投資初心者ガイド | 成功投資のために基礎資本から作ろう。 (2) | 2023.11.24 |
주식투자 초보가이드 | 성공 투자를 위해 기초 자본부터 만들자. (1) | 2023.06.07 |
주식투자 초보가이드 | 주식투자 어떻게 시작할까? (2) | 2023.06.01 |